작성일 : 14-05-12 11:23
[기획연재모음] 대안지구화의 경제적 시공간 - 독일과 한국에서 기본소득과 사회연대소득의 가능성을 중심으로
 글쓴이 : 사무처
조회 : 5,763  
   대안지구화의경제적시공간_수정본_.hwp (135.0K) [5] DATE : 2014-05-12 11:23:27
곽노완|조회 162|추천 0|2009.02.18. 13:03

‘기본소득’은 ‘사회 전체 성원에게 기본생활비를 조건 없이 지불하라’는 주장이다. 이는 유토피아주의자 푸리에(Fourier)가 제기한 주장이다. 푸리에의 테제와 마르크스의 ‘필요에 따른 분배’ 테제를 결합시켜 빠레이스와 판 더 벤(Parijs & van der Veen)이 1986년에 이론적으로 체계화한 ‘기본소득’ 담론은, 현재 기본소득 지구네트워크(BIEN: Basic Income Earth Network)’라는 네트워크운동으로 발전하였다. 현재 ‘기본소득’ 담론이 사회적으로 가장 활성화된 나라는 독일이다. 2004년 이후 좌파당 소장파인 블라쉬케(Blaschke)와 2006년에 독일의 자본가 베르너(Werner)는 ‘기본소득’의 실현가능성을 구체화하였다. 2007년 들어서는 기독교민주당(CDU)마저 ‘기본소득’의 도입을 적극 검토할 만큼, 독일의 ‘기본소득’ 논의는 대중적으로도 정치적으로도 확장되었고 현재 세계적으로 ‘기본소득’ 담론을 선도하고 있다.  
한편, 제3세계에서도 ‘기본소득’ 논의는 현실성을 얻고 있다. 브라질의 룰라 정부는 2010년부터 전체 국민에게 ‘기본소득’을 제공하기로 결정했으며, 나미비아의 빈곤 지역에서는 2008년부터 ‘기본소득제도’를 도입했다.
하지만 ‘기본소득’ 담론은 자본주의의 폐기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는다. 또 ‘기본소득’은 기존에 사회복지제도가 발달하지 않은 한국과 같은 사회에서는 도입되더라도 효과가 극히 미미한 제도이다. 
이 글은 ‘기본소득’을 기존의 배당·이자·임대료 등 기업 및 재산소득 나아가 자본주의적인 모든 불로소득을 폐기하여 ‘사회연대소득’으로 통합하여 노동성과에 따른 소득과 연계할 뿐만 아니라 이를 지구적 차원으로 확장함으로써, ‘기본소득’의 한계를 넘어설 수 있음을 보이려는 시도이다. 이는 안정성의 경제공간인 사회연대소득의 공간과 열린 창의적 경제공간인 노동성과의 공간이 결합된 대안지구화의 경제적 시공간이기도 하다.



 
 
 

온라인카지노주소
호카지노
오리엔탈카지노
마이다스카지노
블랙잭
룰렛
밤툰 - 100% 무료웹툰
기본소득 한국 네트워크 / basicincome@copyLeft 2013